
물권법이란 사람이 재화(財貨)를 직접 지배하고 이용하는 재산 관계를 규율하는 법. 소유권을 중심으로 하는 재산법이다.
쉽게 말해서 물건이 물건을 지배할 수 있는 권리이다.
1. 물권법의 특징
▶ 강행규정성
- 사적 가치를 특수한 방법으로 제한적인 범위에서만 인정하며, 한정된 종류의 물권 가운데 선택만 할 수 있도록 함
▶고유성
- 물권법은 각국의 관습과 전통의 영향이 많이 반영됨
- 우리의 물권법은 전세권 제도를 제외하고는 외국법, 특히 독일의 물권법을 계수함
2. 물권의 의의
▶ 물건 기타의 객체를 직접 지배해서 이익을 얻는 배타적인 권리

3. 물권의 성질
▶ 물권의 객체
- 물권의 객체는 원칙적으로 물건이어야 함
- 물권의 객체는 특정되어 있어야 함
- 물권의 객체는 독립한 물건이어야 함
- 객체에 대한 배타적 (독점적) 지배권
▶일물일권주의(一物一權主義)
- 하나의 물건 위에는 내용산 병존(양립)할 수 없는 물권은 하나만 성립할 수 있다는 원칙
- 원칙상 물건의 일부에 하나의 물권이 성립할 수 없고, 또 여러 개의 물건 위에 하나의 물권이 성립할 수 없음
▶ 객체에 대한 배타적(독점적) 지배권
- 배타성 서로 병존(양립)할 수 없는 내용의 권리가 동시에 둘 이상 성립할 수 없는 성질
- 배타성의 결과 하나의 토지 위에 두 개의 소유권이나 순위가 같은 두 개의 저당권이 성립할 수 없음
- 소유권과 제한물권, 소유권과 점유권은 내용상 병존할 수 있음

▶ 절대권
- 특정한 상대방이 없고, 모든 자에 대하여 효력이 인정됨
- 어떤 자가 물권을 침해하면 물권자는 당연히 불법행위를 이유로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고 또 물권적 청구권을 가짐
▶ 물권법정주의(物權法定主義)
- 물권의 종류와 내용은 법률이 정하는 것에 한하여 인정됨
- 당사자가 그 밖의 물권을 자유롭게 만들어내지 못한다는 법 원칙
- 제185조 [물권의 종류] 물권은 법률 또는 관습법에 의하는 것 외에는 임의로 창설하지 못한다.

* 전세는 권리이고, 물건적 지위는 등기가 필요하다.
'경매 공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법원 경매에서 주택임대차보호법 (0) | 2024.05.09 |
---|---|
부동산의 경매와 소유 및 권리의 종류 (0) | 2024.05.08 |
법원경매정보 용어 및 내역 확인 (0) | 2024.05.07 |
경매에서의 부동산과 동산 (0) | 2024.05.07 |
부동산 용도지역과 용적률 및 건폐율 (0) | 2024.05.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