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 꿀팁

차량 과태료 및 범칙금 조회하는 방법

by 1.83ml 2024. 6. 6.
320x100

 

과거에는 1 가구에 차량 1대 정도 있는 것이 대부분이었던 것 같은데, 현재는 한국 사람들의 생활수준이 많이 상승해서인지 가족 수만큼 차량을 보유하고 있는 가구가 늘고 있는 것 같다.

나는 경제를 잘 모른다.. 개인적인 추측이다.

때문에, 도로에 차들이 끊임이 없이 다니고, 차들이 많이 있기 때문에 위반사항도 많이 발생된다.

우리도 평소에 고속도로에서, 국도에서 운전을 하다가 어느 순간 모르게 속도를 신경 못 쓸 때가 많이 있다.

내가 위반을 한 것인지, 적정 속도 범위로 인정되는 것인지, 떨리는 가슴을 안고 운행을 한 경험이 한 번쯤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이때, 경찰청교통민원 24 사이트를 통하여 그 내역들을 조회할 수 있다.

그럼 교태료 및 범칙금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1. 경찰청교통민원24 사이트 접속 및 로그인

 

경찰청 교통민원24 사이트(https://www.efine.go.kr/main/main.do)에 접속하여 로그인하도록 한다.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경찰청교통민원24(이파인)

www.efine.go.kr

 

 

로그인 방법에는 간편인증, 금융인증서 로그인, 공동인증서, 디지털원패스 로그인이 있다.

본인이 편한 간편인증 방법을 선택하여 로그인을 진행하였다.

경찰청 교통민원24 사이트에서는 최근단속내역, 미납한 과태료, 미납한 범칙금, 교통법규위반 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

 

2. 과태료관련 메뉴 클릭

 

각자의 방식으로 로그인을 진행하였다면, 아래와 같이 처음 확인할 수 있었던 페이지가 나온다.

왼쪽 아래를 보면 각종 메뉴들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페이지 상단에 있는 조회를 통하여 확인하는 것을 권장한다.

큰 차이는 없느나, 기납내역을 조회할 수 있다는 편리함이 있기 때문이다.

 

미납과태료부터 조회하기 위해, 페이지 상단에 있는 조회 메뉴를 클릭한다.

 

조회란을 참고하여, 소메뉴 중에서 미납과태료를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미납된 과태료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미납과태료는 도로에서 무인단속장비에 찍힌 내역과 경찰관으로부터 단속에 걸려 현장에서 부과받은 과태료이다.

법인인 경우에는 조회범위를 3개월 이내로 설정한다.

차량번호를 기재하는 부분에 본인의 차량번호를 기재한다.

차량번호를 기재한 후에 검색을 하면, 나의 미납과태료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과거에 과태료 고지서를 수령하여 납부한 사실이 있다면, 조회메뉴에 있는 기납과태료를 선택한다.

기납과태료 메뉴에서 내가 납부했던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기납과태료를 조회하니, 내가 위반했던 시간, 장소 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 내역에 관련하여 납부한 기록이 나온다.

과거에 속도위반으로 과태료 32,000원을 납부한 기억이 있다.

큰 금액은 아니지만 안전운전을 해야겠다는 생각을 다시금 하게 되었다.

 

 

3. 범칙금관련 메뉴 클릭

 

미납범칙금을 조회하기 위해서 아래의 메뉴에서 미납범칙금 메뉴를 클릭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본인의 내역으로 미납범칙금을 조회할 수 있는데, 범칙금은 실제 운전자에게 부과되며, 벌점이 있을 수 있다.

벌점이 40점 이상일 시 면허 정지이며, 누산점수가 1년동안 121점 이상, 2년 동안 201점 이상, 3년 동안 271점 이상일 경우

면허가 취소된다.

40점 미만의 벌점이 있을 경우에는 최종 위반일로부터 1년간 벌점이 없다면 벌점이 모두 소멸된다.

다행히 범칙금을 부과받은 적이 없다.

 

 

과태료와 마찬가지로 범칙금에도 기납범칙금 조회가 있다.

궁금하다면 클릭을 해서 확인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기납범칙금 메뉴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이 내역이 검색된다.

범칙금을 납부하라는 내용을 받은 적이 없기 때문에, 기납범칙금 내역도 조회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과태료나 범칙금 조회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속도를 위반한건지, 정상속도로 간 것인지 애매하다면, 위의 방법으로 조회를 해보면 된다.

맞는지 틀린지 애매하게 지나갔다가, 시간이 지난 후에 고지서를 받으면 그렇게 당황스러울 수가 없다.

내가 어디서 했는지도 모르게 오는 경우가 있으니 말이다.

위에서 소개한 방법을 통하여, 애매했던 상황들의 내용을 조금 더 확실하는 하는 것에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300x250